"Chhian-jī-bûn" pán-pún chi-kan bô-kāng--ê tē-hng

刪去的內容 新增的內容
無編輯摘要
無編輯摘要
Tē 116 chōa:
|rowspan=2|여자는 정조를 따르고 남자는 재량을 본받아
|-
| lū bō͘ ching lia̍t lâm hāu châi liông
| 여모정렬 남효재량
|-
| {{X-larger|{{lang|zh|知過必改 得能莫忘}}}}
|rowspan=2|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.
|-
| ti kiò pit kái tik lîng bo̍k bōng
| 지과필개 득능막망
|-
| {{X-larger|{{lang|zh|罔談彼短 靡恃己長}}}}
|rowspan=2| 다른이의 단점을 입에 담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너무 믿지 마라
|-
| bóng tâm í toán bí sī kī tiông
| 망담피단 미시기장
|-
| {{X-larger|{{lang|zh|信使可覆 器欲難量}}}}
|rowspan=2| 믿었던 장점이 뒤집힐 수 있고 다른 사람 기량은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.
|-
| sìn sú khó hok khì io̍k lân liông
| 신사가복 기욕난량
|-
| {{X-larger|{{lang|zh|墨悲絲染 詩讚羔羊}}}}
|rowspan=2| 이 때문에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탄식하였고<ref>묵자 소염론</ref> 시경은 고양을 찬송하였다.<ref>시경 고양편</ref>
|-
| bi̍k pi si jiám si chàn ko iông
| 묵비사염 시찬고양
|-
| {{X-larger|{{lang|zh|景行維賢 克念作聖}}}}
|rowspan=2| 바르고 어진 것을 보고 행하여 지극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
|-
| kíng hîng ûi hiân khik liām chok sìng
| 경행유현 극념작성
|-
| {{X-larger|{{lang|zh|德建名立 形端表正}}}}
|rowspan=2|덕을 쌓아 이름을 세우면 바른 모양이 겉으로 드러난다.
|-
| tik kiàn bîng li̍p hîng toan piáu chìng
| 덕건명립 형단표정
|-
| {{X-larger|{{lang|zh|空谷傳聲 虛堂習聽}}}}
|rowspan=2| 빈 골짜기에 울리는 소리처럼 또한 빈집에서 들리는 소리처럼
|-
| khong kok thoân sing hi tông si̍p thing
| 공곡전성 허당습청
|-
| {{X-larger|{{lang|zh|禍因惡績 福緣善慶}}}}
|rowspan=2| 화는 악행을 쌓은 것이 원인이요 복은 선행의 결과이다.
|-
| hō in ok chik hok iân siān khìng
| 화인악적 복연선경
|-
| {{X-larger|{{lang|zh|尺璧非寶 寸陰是競}}}}
|rowspan=2| 커다란 옥 구슬이<ref>여기서 벽은 완벽의 유래가 된 옥구슬을 말한다. 척(尺)과 촌(寸)은 길이의 단위이나 크고 작은 것으로 의역하였다.</ref> 보배가 아니니 작은 시간을 경주하여야 하여라.
|-
| chhik phik hui pó chhùn im sī kìng
| 척벽비보 촌음시경
|-
| {{X-larger|{{lang|zh|資父事君 曰嚴與敬}}}}